S&P500 ETF에 적립식 투자하는 것과 관련하여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과거 수익률을 보면 안정적이고 높은편이라 장기적인 투자대상으로 매력이 있다고 생각하는데요.
매월 적립식으로 S&P500 ETF를 사서 모은다고 할때 주의해야할 사항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20년이상 장기간으로 투자할때와 목돈을 모으기 위해 단기간으로 2~3년 투자해서 매도할때도 주의사항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S&P500 ETF 종류가 많던데 수수료의 차이는 투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수수료 비교는 어떻게 해야하는지도 알고 싶습니다.
(2025.02.19)
▶ S&P500 ETF는 국내시장에 상장된 ETF에 투자하는 경우 어떤 계좌에 넣고 투자하느냐에 따라 세금이 달라짐
S&P500이라는 지수를 따라서 가격이 변동하게끔 만들어진 ETF이기 때문에 어떤 것을 고르든 그 가격의 움직임은 별 차이가 없을텐데요. 세금과 환율에 따라서 실질 수익률은 큰 차이를 보이게 됩니다. 그래서 투자금액과 기간에 따라 유리한 쪽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우선 국내시장에 상징된 ETF에 투자할때는 어떤 계좌에 넣고 투자하느냐에 따라 세금이 달라집니다.
국내시장에 상장된 ETF중 국내주식에만 투자하는 ETF가 아니면 모두 양도차익에 대해 배당소득으로 보고 15.4%의 세금을 매깁니다. 이런 배당소득과 이자소득을 모두 합쳐 연간 2000만원을 초과하면 다른 소득과 합산해서 세금을 매기는 금융소득종합과세대상자가 됩니다. 이걸 피하기 위해선 ISA나 연금저축펀드계좌를 통해 투자를 하면 되는데요. 두 계좌 모두 투자를 하는 도중에는 매매차익에 대해 세금을 부과하지 않습니다. 그러다가 계좌를 해지하거나 계좌에서 인출하면 그때 세금을 부과하게 됩니다.
- 국내시장에 상장된 ETF를 ISA계좌에 넣어 투자하는 경우
ISA는 가입일로부터 3년이 지나면 불이익없이 해지할 수 있는데요. 해지하기전까지 발생한 수익과 손실을 모두 합산한 뒤 최종적인 순이익에 대해서만 과세를 합니다. 이때 일반형인 경우 200만원까지는 비과세이고 초과분에 대해서는 9.9%의 세율로 분리과세를 하게 됩니다. ISA를 유지하는 동안 그안에서 샀다 팔았다 한 이력을 모두 합쳐서 별도로 과세를 하니까 누적된 이익이 얼마가 되든 종합과세 걱정은 안하셔도 되는거죠.
- 국내시장에 상장된 ETF를 연금저축펀드 계좌에 넣어 투자하는 경우
연금저축펀드 계좌도 비슷하긴 한데요. 세액공제를 받느냐 받지 않느냐에 따라 세금을 매기는 방식이 달라집니다. 만약 납입하면서 세액공제 혜택을 받았다면 반드시 55세이후에 연금으로 수령해야되고 이때는 원리금에 대해 5.5%의 세금을 매기게 됩니다. 장기간 돈이 묶이게 되고 원금에도 과세를 하니까 자금활용이 다소 유연하지 못하죠. 세액공제를 받지 않는다면 언제든 해지해서 인출할 수 있는데요. 이땐 수익이 난 부분에 대해서만 16.5%의 세금을 매깁니다. 세율이 일반계좌나 ISA보다는 높지만 이 역시 분리과세가 되기 때문에 장기간 투자해서 수익이 많이 났을 경우 종합과세에 대한 걱정을 덜 수 있습니다.
※ 정리하자면 2~3년정도 투자해서 매도할때는 ISA를 활용하시면 좋고 20년이상 장기간 투자할때는 연금저축계좌를 활용하시면 좋은데요. 연금저축계좌는 금융사마다 하나씩 만들 수 있으니까 세액공제를 받는 계좌와는 별개로 투자용계좌를 개설하시고 연말정산때는 투자용계좌는 세액공제신청을 안하시면 관리하기가 조금 편하실 겁니다. IRP도 연금저축과 비슷하긴 하지만 의무적으로 안전자산의 30%이상 투자해야 하기 때문에 100% S&P500에 투자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S&P500 ETF는 미국시장에 상장된 ETF에 투자하는 경우 장기보다는 단기간 소액으로 투자하는 것을 추천
미국시장에 상장된 ETF에 투자하게 되면 매도를 했을때 수익에 대해 22%의 양도소득세를 부과합니다. 연간 250만원까지는 세금이 없지만 이것을 초과하여 수익이 나면 세금을 많이 내야하기 때문에 단기간 소액으로 투자할 경우에 적합합니다.
▶ETF 투자시 해당 상품의 수수료와 보수를 꼭 확인해 볼 것
ETF의 수수료와 보수는 ETF를 사서 갖고 있는 내내 발생하는데요. 수수료가 비싼 ETF는 그 수수료만큼 수익률이 줄어든다고 보시면 됩니다. 국내 상장된 ETF는 금융투자협회 홈페이지에서 비교해 볼 수 있구요. 국내외 상장된 ETF의 수수료를 비교해주는 여러 민간사이트들도 있습니다.
♧ 오늘의 경제공부
먼저 ETF란? 영어로 Exchange Traded Fund. 인덱스펀드를 거래소에 상장시켜 투자자들이 주식처럼 편리하게 거래할 수 있도록 만든 상품이다. 개별 주식을 고르는데 수고하지 않아도 되고 언제든지 시장에서 원하는 가격에 살 수 있어 인덱스 펀드와 주식을 합쳐놓은 것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ETF를 고를때 국내상장인지 미국상장 상품인지 우선 확인해보자.
ETF 또한 운용사의 수수료 등 총 보수 비용을 잘 비교해봐야한다. 보수는 결국 내 수익률을 깎아 먹기 때문~!!
해당 상품의 수익률을 잘 살펴보면서 운용사 및 시가총액이 어느정도 규모가 있는 것을 찾아보는 것이 좋다.
거래가 활발하고 좀 더 안정적이기 때문이다. 내가 팔고 싶을 때 팔 수 있어야 하니까!!
여튼 보수도 만만치 않고 더군다나 해외상장된 ETF에 투자하는 경우 환율도 필수적으로 고려해야하며 손실이 발생할 수 있는 고위험 상품이기 때문에 많이 공부하고 신중하게 생각해볼 것!!!!!!!!!!!!!!
- 국내외상장된 ETF의 수수료를 비롯한 상세정보를 제공하는 민간사이트는 아래와 같다.
SEIBro
↓↓↓
https://seibro.or.kr/websquare/control.jsp?w2xPath=/IPORTAL/user/etf/BIP_CNTS06025V.xml&menuNo=174
Naver증권 사이트
↓↓↓
https://m.stock.naver.com/domestic/etf/capitalization
- 국내상장된 ETF는 금융투자협회 홈페이지에서 보수 및 비용을 검색하여 확인해볼 수 있다.
금융투자협회
↓↓↓
https://dis.kofia.or.kr/websquare/index.jsp?w2xPath=/wq/fundann/DISFundFeeCMS.xml&divisionId=MDIS01005001000000&serviceId=SDIS01005001000
금융투자협회
dis.kofia.or.kr
'스플러의 일상속으로 🍀 > 오늘의 경제공부: feat.김현우의 손경제 상담소(MBC 표준FM)'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공부] 배당금을 많이 주는 비트코인 ETF, 괜찮을까요? (2) | 2025.03.31 |
---|---|
[경제공부] 건강보험료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금융소득은? (0) | 2025.03.19 |
[경제공부] 자동차보험 렌트카 보상과 운전자보험이 궁금합니다 (2) | 2025.02.24 |
[경제공부] 공시이율형 연금보험에 대해 궁금합니다 (0) | 2025.01.21 |
[경제공부] 개인연금 과세에 대해 알려주세요 (0) | 2025.0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