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공부10 [경제공부] 신탁회사가 소유권자인 주택을 매수해도 될까요? 최근에 이사를 계획중에 있는데요. 매수할 아파트 등기부등본을 보니 소유권자가 신탁주식회사입니다. 부동산에 알아보니 개인이 경매로 낙찰받은 후 소유권을 취득하고 신탁회사에 담보신탁을 했다고 합니다.그래서 현재 소유권자는 신탁회사로 나오는게 맞다고 설명을 하더라구요. 일반주택담보대출보다 담보신탁으로 진행할 경우 대출한도가 높아서 그렇게 많이들 한다고 했습니다.이 아파트를 매수하고 싶은데요. 저는 누구와 계약해야 하나요? 위탁자인 개인인지 현 소유권자인 신탁주식회사인지 아니면 둘 다 계약서에 기재해야 되는지 궁금합니다. 더불어 계약금과 잔금은 개인과 신탁회사중 어디에 지불해야 하는 걸까요? 정상적으로 잔금을 치룬다면 신탁회사가 위탁자인 개인에게 소유권을 이전하고 개인은 다시 저에게 이전한다고 합니다. 근저당이.. 2025. 4. 17. [경제공부] 배당금을 많이 주는 비트코인 ETF, 괜찮을까요? 작년부터 미국ETF를 사모으고 있었는데 비트코인과 관련된 ETF종목을 발견하고 이상한 점이 있어 문의드립니다. 해당 ETF의 소개를 보면 비트코인 선물을 커버드콜 전략으로 투자하는 상품이라는데 정작 종목 자체 가격은 비트코인처럼 급격하게 상승하진 않았고 대신 배당금을 50%가까이 나눠줬더라구요. 비트코인의 상승분을 배당금으로 줘서 그런건가요? 또 기존에는 매달 배당금을 지급하다가 올해부터는 매주 배당으로 바뀌었는데 월 배당이던 24년도 보다 배당율이 더 올라서 오히려 투자하기가 망설여집니다. 이런 종목은 어떤 위험이 있는 걸까요? 수익율이 매우 높으니 위험도 그만큼 클 것 같은데 자세히 알아보고 투자하려고 합니다. (2025.03.28)▶ 콜옵션은 아파트 분양권하고 매우 흡사한 방식다양한 금융상품중에 콜.. 2025. 3. 31. [경제공부] 건강보험료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금융소득은? 이자와 배당금이 연간 1000만원을 초과하면 건강보험료를 많이 낼 수도 있다는 얘기를 들었는데요. 이때 이자와 배당금의 기준이 세전 금액인지 세후 금액인지 알고 싶습니다. 제가 10년동안 일시납 연금상품에 돈을 넣어 둔 적이 있는데 이를 일시금으로 받거나 연금으로 받을 경우 누적된 이자도 함께 지급될텐데요. 여기서 발생된 이자도 다른 금융소득과 합산하여 건강보험료 산정에 포함되는지 궁금합니다. 만약 합산 후 총액이 1000만원을 넘는다면 보험료가 추가로 부과되는지 알고 싶습니다. 마지막으로 제가 이미 받고 있는 우체국 개인연금에서 발생하는 이자 역시 금융소득 1000만원 한도에 포함되는지도 궁금합니다. (2025.03.11)▶ 이자와 배당소득은 세전 금액을 기준으로 소득을 산정이자와 배당소득은 세전 금액.. 2025. 3. 19. [경제공부] 해외ETF에 투자할때 어떤 점을 주의해야 할까요? S&P500 ETF에 적립식 투자하는 것과 관련하여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과거 수익률을 보면 안정적이고 높은편이라 장기적인 투자대상으로 매력이 있다고 생각하는데요.매월 적립식으로 S&P500 ETF를 사서 모은다고 할때 주의해야할 사항이 있는지 궁금합니다.그리고 20년이상 장기간으로 투자할때와 목돈을 모으기 위해 단기간으로 2~3년 투자해서 매도할때도 주의사항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S&P500 ETF 종류가 많던데 수수료의 차이는 투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수수료 비교는 어떻게 해야하는지도 알고 싶습니다.(2025.02.19)▶ S&P500 ETF는 국내시장에 상장된 ETF에 투자하는 경우 어떤 계좌에 넣고 투자하느냐에 따라 세금이 달라짐S&P500이라는 지수를 따라서 가격이 변동하게끔 만들어진 ETF.. 2025. 2. 26. [경제공부] 자동차보험 렌트카 보상과 운전자보험이 궁금합니다 차량을 렌트할때 유용하다고 들어서 제 자동차보험 특약으로 '타차차량손해특약'을 가입했어요. 통상 렌트카를 사용하게 되면 비싼 보험을 따로 가입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제가 가입한 특약이 있으면 별도의 보험을 가입하지 않아도 된다고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막상 렌트를 하려니 불안해서 여기저기 물어봐도 안된다는 얘기도 많고 심지어 보험사 콜센터에서도 대인과 대물보상 때문이라도 따로 보험을 가입하라는 식으로 애매하게 답변을 하더라구요. 또 요즘 운전자보험을 반드시 가입하라는 말들이 많은데요. 최근엔 유명 자동차 유튜버가 저희 직장에 와서 강의를 하면서 운전자보험이 꼭 필요하다고 하더라구요. 그럼 훨씬 저렴한 자동차보험 특약으로 가입하는게 유리한 거 아닌가요? 왜 많은 사람들이 비싼 운전자보험에 가입하는지 궁.. 2025. 2. 24. [경제공부] 공시이율형 연금보험에 대해 궁금합니다 결혼 전에 남편이 가입한 연금보험에 대해 문의 드립니다. 연금이니 일찍 가입해서 오래 유지해야된다는 생각에납입만 하고 내용 확인을 미루다가 이제서야 확인하게 되었는데요.살펴보니 2016년도에 매달 20만원씩 20년간 납입하는 공시이율형 연금을 가입했더라구요. 현재까지 가입한 금액은 대략 2천만원정도이고 적립율은 약 94%에 사업비는 약 300만원이더라구요.총 20년이나 납부해야 하는건데 현재 적용되는 이율도 최저보증수준이고 연말정산때 아무런 혜택도 없어서 이대로 유지하는 게 맞는건지 판단이 되질 않습니다.10년만 납입하고 변액보험이나 연금저축 같은 상품으로 갈아타는게 좋을지 아니면 지금이라도 다른 걸로 가입하는게 좋을지 궁금해요.(2025.01.15)▶ 공시이율형 보험은 일정비율의 사업비를 뗀 나머지 금.. 2025. 1. 21. 이전 1 2 다음